들어가며.
변곡점은 본디 수학에서 '함수의 곡선이 굴곡의 방향을 바꾸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변곡점이란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나 방향의 변화를 뜻하기도 하며,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는 순간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변콕점은 여러분들의 인사이트에 새로운 변화를 전달 드립니다.
변덕스러운 세상의 이슈들을 '콕' 찝어 생각의 변화를 선사하는 변콕점!
이제 그 전환점 속으로 들어가보실까요?
📌 12월 1주차 마케팅 이슈
1️⃣ "월 3900원이면 끝"…네이버플러스 구독으로 넷플릭스도 본다
2️⃣ “AI 기술과 초개인화가 디지털 미디어 변화 이끈다”
3️⃣ [Z시세] "15초만에 대기 202명"… SNS 성지 '크리스마스 빌리지'
4️⃣ 배달 성수기 왔다…배달 3사 마케팅 대전 펼쳐
5️⃣ [단독] 무료 반품·배송에 충동 구매… 10개 중 하나는 돌려보낸다
![](https://blog.kakaocdn.net/dn/b56zAX/btsK1PUv3bP/wgZiprUUYXkOQX8uakT6T0/img.jpg)
➊ "월 3900원이면 끝"…네이버플러스 구독으로 넷플릭스도 본다
#네이버플러스 #넷플릭스 #멤버십 #광고형 요금제 #구독
1) 3문장 요약
넷플릭스가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에게 추가 비용 없이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제공합니다.
광고형 스탠다드 이용권은 풀HD 화질, 2인 동시 접속, 모바일 게임 무제한 등의 혜택을 제공하며 상위 요금제로의 업그레이드도 가능합니다.
넷플릭스는 올해 3분기에 전 세계적으로 약 507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했으며, 광고형 요금제는 전 분기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2) 내용
:
넷플릭스와 네이버가 새로운 제휴를 통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들에게 추가 비용 없이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제공합니다. 이용자들은 풀HD 화질의 콘텐츠를 2인까지 동시 시청할 수 있으며, 모바일 게임 무제한 이용과 콘텐츠 저장 기능도 함께 제공받습니다.
넷플릭스는 이번 협업을 통해 시청자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의 가치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9일에는 서현진, 공유 주연의 '트렁크'와 '솔로지옥' 시즌4 등 새로운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며, '오징어 게임' 시즌2도 준비 중입니다.
현재 넷플릭스의 광고형 멤버십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7000만 명에 달하며, 올해 3분기에만 약 507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광고형 요금제는 접근성 높은 가격으로 인기를 얻으며 전 분기 대비 35%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OIP💡 | 넷플릭스가 국내 주요 플랫폼과의 제휴를 통해 구독 확대에 나섰습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과의 광고형 요금제 연계는 구독 경제 시대의 플랫폼 간 협력 모델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특히 글로벌 OTT의 광고형 요금제 성장세는 콘텐츠 플랫폼이 수익 다각화를 위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 도입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ONE INSIGHT POINT
📰 기사 원문 보기
![](https://blog.kakaocdn.net/dn/bisBPo/btsK2lSIPcC/Dx0Zml5Kvq5D3lq3buw5X1/img.jpg)
➋ “AI 기술과 초개인화가 디지털 미디어 변화 이끈다”
#AI 기술 #초개인화 #디지털 광고 #디지털 미디어 #OTT 2.0 시대
1) 3문장 요약
나스미디어가 발간한 '2025년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는 AI 기술과 초개인화가 디지털 미디어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내수 부진이 완화되며 광고 시장이 완만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디지털 광고가 전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보고서는 장소의 콘텐츠화, 숏폼 콘텐츠의 진화, OTT 2.0 시대, 엔터테인먼트화되는 커머스, 생성형 AI의 진보 등 5가지 주요 트렌드를 제시했습니다.
2) 내용
:
나스미디어가 발표한 2025년 디지털 미디어·마케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디지털 미디어 시장은 AI 기술과 초개인화를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내년에는 내수 부진이 완화되면서 광고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디지털 광고가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보고서는 5가지 주요 트렌드를 제시했습니다. 첫째, 위치 기반 서비스는 AI 기술을 접목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의 콘텐츠화'가 진행될 것입니다. 둘째, 숏폼이 새로운 콘텐츠 표준으로 자리 잡으며, 2026년까지 187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셋째, OTT 서비스는 차세대 광고·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넷째, 커머스는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강화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AI 검색과 AI 에이전트 시장이 부상하면서 개인화된 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OIP💡 | 2025년 디지털 미디어 시장이 AI와 초개인화를 중심으로 한 구조적 변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내수 시장 회복과 함께 디지털 광고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장소의 콘텐츠화, 숏폼 진화, OTT 고도화 등 새로운 트렌드의 부상은 미디어 생태계의 전면적 재편을 예고합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와 커머스의 융합, 생성형 AI의 혁신은 소비자 경험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해석됩니다.
ONE INSIGHT POINT
📰 기사 원문 보기
![](https://blog.kakaocdn.net/dn/ATNJl/btsK2Z9qglg/1QBLtu0ENCk5o7M434VOI1/img.jpg)
❸ [Z시세] "15초만에 대기 202명"… SNS 성지 '크리스마스 빌리지'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빌리지 #더현대 서울 #SNS 성지 #현장 웨이팅
1) 3문장 요약
더현대 서울의 크리스마스 빌리지가 1차 예약 14분 만에 매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현장 웨이팅은 QR코드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오픈 시간인 11시 30분에 202명의 대기 인원이 15초 만에 발생했습니다.
SNS 활용도에 따라 만족도가 크게 갈리는데, 20-30대는 SNS 공유를 위해 긍정적인 반면 40-50대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습니다.
2) 내용
:
더현대 서울의 크리스마스 빌리지가 연말 필수 방문 코스로 자리잡으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1차 예약은 14일 동안의 입장권이 14분 만에 매진되었고, 현장에서도 예약을 위한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오픈 시간인 11시 30분, QR코드를 통한 웨이팅 시스템에서 단 15초 만에 202번째 대기 번호가 발급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주말이 아닌 월요일 아침임에도 일찍부터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현장에서는 커피를 마시던 사람들까지 예약을 위해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SNS 활용도에 따른 세대별 만족도 차이입니다. 20-30대는 "남는 건 사진밖에 없지 않냐"며 SNS 공유를 위한 사진 촬영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40-50대는 "사진 찍는 곳이 대부분이고 정작 구경할 만한 것은 많지 않다"며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SNS 문화에 익숙한 정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OIP💡 | 백화점 크리스마스 마케팅이 MZ세대를 겨냥한 경험 소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더현대 서울의 크리스마스 빌리지 흥행은 SNS 공유를 통한 바이럴 효과와 희소성 마케팅이 맞물린 성공 사례로 평가됩니다. 특히 세대별 만족도 차이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경험 공유가 젊은 층의 새로운 소비 동인으로 자리 잡았음을 시사합니다.
ONE INSIGHT POINT
📰 기사 원문 보기
![](https://blog.kakaocdn.net/dn/Atndw/btsK19LOxYY/xdKqZGu7Ntl2ItK81JAYsK/img.jpg)
❹ 배달 성수기 왔다…배달 3사 마케팅 대전 펼쳐
#배달 플랫폼 #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배달 마케팅
1) 3문장 요약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3사가 연말 배달 성수기를 맞아 대대적인 마케팅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배민은 구독 멤버십 3개월 무료 프로모션을, 쿠팡이츠는 '이츠 와우위크' 할인 행사를, 요기요는 '요기특가위크'와 '요기로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업계는 겨울철이 여름보다 활동이 적고 날씨가 추워 배달 수요가 더 높아지며, 겨울방학이 더 길어 배달 수요가 증가한다고 분석했습니다.
2) 내용
:
배달 플랫폼 3사가 연말 성수기를 맞아 대규모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을 선보입니다. 배달의민족은 배민클럽 3개월 무료 프로모션과 함께 첫 주문 시 4000원 할인쿠폰을 제공하며, 36개 브랜드에서 최대 8900원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쿠팡이츠는 12월 1일까지 2차 '이츠 와우위크'를 통해 치킨, 피자, 버거 등 인기 브랜드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와우멤버십 회원에게는 무료배달에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요기요는 12월 16일부터 29일까지 '요기특가위크'를 통해 매일 3가지 인기 브랜드를 최저가로 선보이고, '요기로또' 이벤트와 아쿠아플라넷 초대권 증정 행사도 진행합니다.
업계는 겨울철이 활동이 적고 날씨가 추워 배달 수요가 증가하며, 여름방학보다 긴 겨울방학으로 인해 배달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OIP💡 | 배달 플랫폼들이 연말 성수기를 맞아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시장 선점에 나섰습니다. 구독형 멤버십과 할인,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으로 소비자 유인에 집중하는 모습은, 겨울철 높아지는 배달 수요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계절적 특성과 방학 시즌이 맞물린 시기를 활용한 마케팅 강화는 배달 시장의 새로운 경쟁 국면을 보여줍니다.
ONE INSIGHT POINT
📰 기사 원문 보기
![](https://blog.kakaocdn.net/dn/bislV0/btsK2BOufjA/rYBpIqOkXcx854K5XfvVm0/img.jpg)
❺ [단독] 무료 반품·배송에 충동 구매… 10개 중 하나는 돌려보낸다
#무료 반품 #반품률 증가 #소비자 부담 #택배 공화국 #양날의 검
1) 3문장 요약
국내 홈쇼핑 3사의 평균 반품률이 2020년 9.5%에서 2023년 11.9%로 증가하며, 구매 상품 10개 중 1개 이상이 반품되고 있습니다.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건수가 100.4건을 기록하며, 택배 물동량은 2023년 51억5000만개로 전년 대비 22.45% 증가했습니다.
무료 반품 정책으로 인한 비용은 결국 상품 가격 인상이나 멤버십 요금 인상 등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습니다.
2) 내용
:
무료 반품·배송 경쟁이 심화되면서 한국은 '택배공화국'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홈쇼핑 3사(CJ ENM, GS리테일, 현대홈쇼핑)의 평균 반품률은 2020년 9.5%에서 2023년 11.9%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무료 반품 정책이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을 쉽게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커머스의 경우 업계 평균 반품률이 20~3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러한 무료 반품으로 발생하는 비용은 플랫폼이 부담하지만, 결국 상품 가격 인상이나 멤버십 요금 인상 등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습니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23년 국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건수는 100.4건으로, 전년 대비 18.5건 증가했습니다. 택배 물동량도 51억5000만개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2.45% 증가했습니다. 기업들은 여전히 물류센터 인프라 구축과 당일배송, 새벽배송 등 서비스 확대에 주력하고 있지만, 이로 인한 숨은 비용이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OIP💡 | 국내 이커머스의 '무료 반품' 정책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반품률 상승과 택배 물동량 급증은 소비자 편의 증진이라는 긍정적 측면 이면에 있는 비용 상승 압박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러한 비용이 결국 상품가격이나 멤버십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현재 이커머스의 무료 반품 정책이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임을 시사합니다.
ONE INSIGHT POINT
📰 기사 원문 보기
![](https://blog.kakaocdn.net/dn/GkUE9/btsK2wzSUKg/PAM0nDexLpB0Se9p4GReXK/img.png)
'변콕점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콕점] 12월 3주차 마케팅 이슈 : 네이버 포스트, 시위템, 금투세 폐지 등 (5) | 2024.12.16 |
---|---|
[변콕점] 12월 2주차 마케팅 이슈 : 비상계엄, 여행경보, 도파민 숏폼, AI 음악시장 (5) | 2024.12.09 |
[변콕점] 11월 4주차 마케팅 이슈 점검하세요 ✅ (34) | 2024.11.25 |
[변콕점] 11월 3주차 마케팅 이슈 점검하세요 ✅ (2) | 2024.11.18 |
[변콕점] 11월 2주차 마케팅 이슈 점검하세요 ✅ (29) | 2024.11.11 |